Graphite on Pink | 포스트크리에이터
16468
portfolio_page-template-default,single,single-portfolio_page,postid-16468,ajax_updown,page_not_loaded,,qode-child-theme-ver-1.0.0,qode-theme-ver-16.9,qode-theme-bridge,disabled_footer_bottom,qode_header_in_grid,wpb-js-composer js-comp-ver-5.5.5,vc_responsive

포스트크리에이터

Category
Art Book

현대미술의 뉴트로(NEWTRO)
무엇이, 어떻게, 현대미술을 이토록 다양하고, 세련되고, 유동적으로 만들어왔는가
미학자의 눈으로 포착한 지금, 여기의 포스트크리에이터(Post-Creator)

 

오늘날 현대미술은 누군가에게는 해석 불가능한 것으로, 또 누군가에게는 시대의 언어가 되며 또 누군가에게는 유희의 대상으로 드러난다. 우리가 속해있는 시대의 예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것은 쉽지 않고, 현상을 통합적으로 사유하기도 어려운 일이다. 문화를 생산하는 마인드도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하루가 다르게 소개되는 신기술이 창작과정에 개입하면서 지금의 예술 현상을 포착하고 비평하기란 매우 까다로운 과제다. 반면 문화의 새로운 키워드가 된 ‘뉴트로(newtro)’는 젊은 세대가 재발견해내는 과거의 조각들이 현재의 새로운 영감의 원천이 되고 있다. 과거에는 존재하지 않던 과거가 현재의 방식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는 것이다. 모든 과도기에는 나아갈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해서 과거로부터의 현재의 흐름을 다시 짚어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다.
현대미술도 지금에 이르는 역사와 흐름을 이해한다면, 갑자기 등장해서 미적 판단을 보류하게 하는 새로운 미적 행위와 작품들을 사유할 수 있는 관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는 현대미술의 ‘올드’로서 현재의 컨템포러리 아트가 태어나게 한 주요 미학 이론들을 소개한다. 그린버그의 모더니즘, 단토의 예술계론, 디키의 예술제도론, 예술 의도와 사회적 상호작용론 등 현대미술이라는 현상의 근원과 맥락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다. 또한 모든 것이 융복합하고 다시 태어나는 현대미술의 ‘나우’를 이해하기 위해 현재의 미학적 판단을 위해 다원주의 패러다임과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포스트미디엄 조건에 대해서도 독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저자는 현대미술이 점점 더 가볍게 소비되는 딜레마를 포착하지만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것들이 특정한 기술 매체적 조건에서 어떠한 상황이나 사건의 디테일로 이행, 변주, 편집, 배치되면서 다르게 현실화하고 있는지를 보아야한다고 한다. 예전과 달리 불확실하고 변칙적이며 경계 없이 이루어지는 현재의 예술 생산과 소비 생태계의 감각 지각적 논리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사회 문화적으로 산출된 것에 의지하면서도 생경하고 이질적인 대상을 찾아나가는 이들의 수행적 특징을 포착하여 ‘포스트크리에이터’로 정의한다. 이에 동시대의 강력한 플랫폼인 유튜브의 감각지각논리와 관심경제에 대해 살피면서 지금의 창의성의 개념에 대해서도 짚어본다.
더불어 지금, 여기의 현상과 그 너머를 바라보기 위해 최근 가장 논란이 되고 있는 ‘페미니즘’과 ‘페미니즘 미술’에 대한 역사를 간략히 소개하고 지금 여기의 현상을 해석하면서 예술이 진정으로 나아가야할 방향과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과연 지금 ‘컨템포러리 아트’의 이념은 무엇인지, 변화하고 있는 것은 무엇이며 어떤 가치가 요구되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하게 한다.
동시대 미술 현장을 구성하는 이들에게는 현대미술이 가진 미학적 계보와 미학적 특수성, 미학적 판단이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정리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며, 현대미술과 이론을 심화하고 싶은 학생들은 하나의 색인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대미술에 관심은 있으나 지적 이해를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방황하는 이들에게도 과연 컨템포러리 아트는 어떻게 시작되고 지금까지 이어졌는지 그 흐름을 조망하게하는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다.
컨템포러리(contemporary)라는 단어는 ‘함께(con)’와 ‘템포(tempo)’ 로 이루어져있다. 저자에 따르면 오늘날 우리의 미술은 이전(pre-)의 창작과 이후(post-)의 창작, 오래된(old) 미적 경험과 지금(now)의 미적 경험이 함께 뛰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포스트크리에이터: 현대미술의 올드 앤 나우’가 그 현대미술 이념의 리얼리티를 가리키며, 지금-여기에서 내일의 미술에 대해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마련해줄 것이다.